재테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노후/은퇴 투자 포트폴리오(연금저축, IRP, 해외 배당투자) 저는 40대 초반 2명의 아이를 둔 가장입니다.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노후에 대한 불안이 늘어서 재테크 공부를 하던중 수페님 책과 영상을 보고 즐겁게 투자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KODEX200은 처음엔 한국기업들도 조금이라도 가져가자는 생각이었는데, 요새 들어선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싶어서 빼버릴까 생각중입니다. 차라리 타미당 비중을 더 늘리는게 나은거 같기도 하구요. 저는 매월 총 190만원(해외: 120만원, 국내 연금저축 : 50만원, IRP : 20만원)정도를 투자중이고, 아이들 2명은 각각 35만원씩(해외 : 25만원, 국낸 연금저축 : 10만원)하고 있습니다. 좀 버겁긴 합니다만..제 노후준비도 준비지만 우리 애들한테도 노후에 대한 불안감을 지워 주기 싫어서 미리 조금씩 준비를 해주고 있습니.. 더보기 ETF 투자시 꼭 확인해야 할 정보 5가지 본업이 있는 대부분의 직장인 및 자영업자들은 매일매일 재테크에 집중하는 것이 쉽지 않다. 나또한 평범한 직장인으로써 저녁 시간을 쪼개가며 밤 늦게까지 기업분석도 하고 나름대로 연구를 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이것을 지속해내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 회사일 뿐만 아니라 가정이 있는 사람은 더욱 그렇다. 실제로 회사일에 치이다가 지쳐서 집에 오면 2차전 시작이다. 애들이랑 놀아주고, 씻기고, 재우고 나면 나도 녹초가 된다. 누구는 핑계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대한민국의 평균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나이기에, 나같은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생각한 것이 ETF다. 물론 ETF도 분석도 하고, 비교해보며 공부를 해야 한다. 하지만 개별 주식을 하나하나 분석하는 것보단 ETF를 공부하는 것이 훨씬.. 더보기 좋은 기업, 좋은 펀드 고르는 법 은퇴 후 삶을 즐겁게 보내려면 충분한 노후자금이 필요하고, 그 자금을 만들기 위해서는 투자를 해야한다. 투자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겠으나, 나는 다소 적은 금액을 가지고도 만족할만한 수익을 낼수 있는 것으로 주식을 꼽는다. 어차피 나의 투자는 최소 2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투자가치가 있는 기업에 투자를 하려고 애쓴다. 그래서 오늘은 장기간 투자할만한 '좋은 기업, 좋은 펀드를 고르는 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 좋은 기업을 고르는 법 ] 1. 경영진 분석을 철저히 하라! 경영진의 자질과 도덕성을 파악한다. 특히 경영진의 자사주 매매 상황이 중요하다. 경영진은 회사를 이끌어 나가는 사람들인데 이들이 대규모 매도를 한다고 하면 의심을 해봐야 한다. 반면에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은 회사의 성장에 대.. 더보기 내가 '배당주/ETF' 투자에 관심을 갖는 이유 주식, 펀드, ETF에 관심을 가진 건 대학교때 부터였던거 같다. 집이 엄청 쪼들리거나 하진 않았지만 왜인지 모르게 나는 부자가 되고 싶었다. 부자가 되서 이것저것 사고 즐겨야겠다는 생각을 하기보다는 이런 상상을 했던거 같다. '이 돈으로 내 주위의 사람들 도와주면 날 우러러보고 존경하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말이다. 하지만 이런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투자를 했으니 결과가 좋게 나올리 없다. 크게 잃지도 않았지만 크게 번것도 없었다. 엄청난 수익이 나질 않으니 마음도 금방 시들해졌다. '아~, 이 길은 내 길이 아닌가보다'라고 생각하며 한동안 주식 투자에 관심을 끊고 살았다. 20대를 그렇게 흘려 보내고 30대가 지나서 40대가 되고 보니, 내 노후에 관해 고민이 되기 시작했다. 애들이 커가면서 학원비에.. 더보기 이전 1 다음